갓생살고싶은 곰탱이

정보통신기사 실기 기출문제(1) 본문

IT

정보통신기사 실기 기출문제(1)

토뭉이랑 2023. 4. 19. 07:27
반응형

안녕하세요. 제 블로그에는 통신관련이나 IT 분야에 대해서 많이 올리고 있는데 오늘은 제가 준비했던 자격증 시험인 정보통신기사 실기 기출문제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한 부분을 올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참고하시고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PCM

표본화 : 아날로그 신호에서 표본 값인 PAM신호를 추출하는 과정, 가장 높은 주파수(fm)의 2배이상 샘플링

양자화 : 표본화된 PAM파를 이산적인 값으로 변환하는 과정

양자화 잡음의 원인 : 아날로그 신호를 양자화된 신호로 구현하는 과정에서 생긴 오차

                    * 개선방안: 비선형 양자화기법 적용, 양자화 스텝수 증가, 압신기 사용

부호화 : 양자화된 이산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는 과정

다중화 : 하나의 통신회선에 다수의 저속채널을 결합시켜 전송하는 방식

재생중계기 기능 : Reshaping, Regeneration, Retiming

적응형 양자화기 사용하는 PCM전송방식

— 입력신호 진폭에 따라 양자화 스텝의 최대.최솟값을 조정하는 양자화기

: ADM(Adaptive Delta Moudulation), ADPCM(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다중화방식(FDM, TDM,CDM,WDM)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

— 주파수 대역을 각각 나누어 할당, 보호대역 필요, 아날로그 신호, 비동기식

— 잡음에 약하고 시스템 간단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시분할 다중화 방식)

— 서로 다른 시간으로 분할, 보호시간 필요, 디지털 신호, 동기식

— 잡음에 강하고 시스템 복잡

 

회선교환방식

STM(Synchronous Transfer Mode,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방식)

— N-ISDN 관련 기술, 동기식 다중화방식, 일정한 전송지연, 통신회선 이용효율 낮음

— 프레임 단위 전송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비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방식)

— B-ISDN관련 기술, 비동기식 다중화 방식, 가변적 전송지연, 통신회선 이용효율 높음

— 일정한 크기의 패킷(셀단위)으로 전송(Cell: 5byte Header+ 48byte Payload)

— Qos파라미터: CLR(Cell Loss Ratio),CTD(Cell Transfer Delay),CDV(Cell Delay Variation)

— 서비스 종류: A(Avaliable)BR, C(Constant)BR, V(Variable)BR, U(Unspecified)BR

참조모델 3가지 평면

사용자 평면: 사용자의 정보를 전송

제어 평면: 호출 설정, 연결제어

관리 평면: 계층관리, 평면 관리

참조모델 3가지 하위 계층: ATM 적응계층, ATM계층, 물리계층

 

광학적 파라미터: 개구수, 수광각, 비굴절률차, 규격화 주파수, 굴절률 분포계수

구조적 파라미터: 균경률, 비원률, 편심률

마이크로밴딩 손실과 매크로 밴딩 손실

— 광케이블에 가해진 미세한 구부러짐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

광케이블 포설시 허용곡률반경이내로 구부려 발생하는 손실

자체 손실 3가지: 산란, 흡수, 구조 손실

분산 종류: 재료, 구조, 모드 분산

전파모드에 따른 구분: 단일, 다중(SIF-Step계단형, GIF-Graded언덕형)

케이블 접속지점에 관한 결과 측정방법: 삽입법, 컷백방법, 후방산란법

OTDR(Opi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

— 용도: 후방산란법을 이용한 광 통신망 장애점 또는 손상 등의 이상유무 측정

— 광케이블 포설시, 허용곡률반경 이내로 무리하게 구부려 발생하는 손실

 

인터네트워킹 장비

  • 허브: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는 장치, 버스형, 다수 컴퓨터 연결 시 속도 저하
  • 스위치: LAN과 LAN연결, 프레임 전송
  • 리피터(1): 약해진 전송신호를 증폭,재생해주는 장치
  • 브리지(2): 두개의 LAN이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장치
  • 라우터(3): 서로 다른 기종의 네트워크들을 중계, 최적 경로 설정
  • 게이트웨이(4): 다른 프로토콜을 가진 네트워크 연결

네트워크 확장을 위해 사용되는 관련 장치 : 스위치, 라우터

라우터 기능: 최적의 경로설정, 부하분산, 패킷 스위칭

 

다음시간에는 공사 및 설계관련한 기출문제에 대해 작성하겠습니다. 모두들 화이팅 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