갓생살고싶은 곰탱이

신중년 경력형 일자리: 취약계층 지원 및 경험 기반 취업 기회 본문

최근 이슈

신중년 경력형 일자리: 취약계층 지원 및 경험 기반 취업 기회

토뭉이랑 2023. 9. 29. 07:06
반응형

신중년 경력형 일자리: 취약계층 지원 및 경험 기반 취업 기회

신중년 경력형 일자리는 취약계층의 주거환경 개선, 관광 약자 여행 지원, 장애인 학생 교육, 중소기업 경영 컨설팅, 공사 현장 산업안전 컨설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며, 정부 및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일자리 프로그램을 통해 실현됩니다.

 

이러한 일자리는 특수한 자격증이나 전문 경력을 요구하지 않으며, 중장년 근로자들에게 기회를 제공하여 재취업을 도모하는 정책입니다. 국민내일배움카드는 중장년 근로자들에게 발급되는 카드로, 연간 최대 500만 원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는 중장년 근로자들에게 장기간 공백기를 경험한 후에도 새로운 일자리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하고, 재취업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원금은 교육, 자격증 취득, 창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어 경력형 일자리를 찾는 중장년근로자들에게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아울러, 중장년 근로자들에게는 경험을 바탕으로 한 실무능력과 신뢰성이 높은 장점이 있습니다.

이들은 오랜 경력을 통해 다양한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책임감과 협업능력도 탁월합니다. 이러한 경험과 역량은 다양한 분야에서 신중년 경력형 일자리에 적합한 요건이 될 수 있습니다. 아래의 표는 신중년 경력형 일자리의 다양한 분야와 해당 분야에서 제공되는 지원사업을 정리한 것입니다.

분야 지원사업
취약계층 주거환경 개선 주거환경 개선 사업
관광 약자 여행 지원 관광 약자 여행 서비스 제공
장애인 학생 교육 장애인 학생 교육 지원 사업
중소기업 경영 컨설팅 중소기업 경영 컨설팅 지원
공사 현장 산업안전 컨설팅 공사 현장 산업안전 컨설팅 지원

이와 같이 신중년 경력형 일자리는 중장년 근로자들에게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경력과 역량을 살릴 수 있는 도움을 줍니다. 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이러한 일자리를 찾는 중장년 근로자들은 새로운 도전과 성취를 경험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만50세 이상 만 70세 미만 미취업자 중 해당분야 경력 3년 이상 또는 전문 자격 소지자이며 시행의 주체는 각 지방자치단체이다.신충년, 고령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신중년 고용안정과 재취업 지원 프로그램으로 만 50세 이상 70세 미만 퇴직전문인력에게 지역사회에 필요한 공공 일자리를 제공하여 일경험 및 민간일자리로의 재취업 지원을 하는 게 그 목적이 있습니다.

1. 관련 지침

https://www.moel.go.kr/policy/policydata/view.do?bbs_seq=20230100769 

 

2. 서울시 모집 공고

https://www.50plus.or.kr/upload/im/2023/01/4ad77aac-f2e2-455f-b71f-64bd1943bae1.pdf

 

 

728x90
반응형